맨위로가기

성북구 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북구 갑은 1988년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소선거구제 부활과 함께 신설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이철, 유재건, 정태근, 유승희, 김영배 등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으며, 민주당계 정당이 강세를 보여왔다. 2008년 한나라당 정태근 후보의 당선은 이례적인 사건이었으며,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 김영배가 재선에 성공했다. 관할 구역은 선거구 획정에 따라 변경되었으며, 현재는 길음1동, 돈암2동, 안암동, 보문동, 정릉동, 성북동, 삼선동, 동선동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성북구의 정치 - 성북구 을
    성북구 을은 서울특별시 성북구를 관할하는 국회의원 선거구로, 1988년 신설 이후 선거구 획정을 거쳐 민주당계 정당의 강세를 보였으며, 신계륜, 기동민 의원을 거쳐 현재는 김남근 의원이 대표하고 있다.
  • 서울 성북구의 정치 - 성북구청장 선거
    성북구청장 선거는 성북구청장을 선출하기 위해 1995년부터 시작되었으며, 역대 선거에서 다양한 정당의 후보가 당선되었고, 2022년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이승로 후보가 당선되었다.
  • 서울특별시의 선거구 - 동작구 을
    동작구 을은 1988년 동작구 갑에서 분리 신설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서울특별시 동작구 일부 지역을 관할하며 박실, 유용태, 나경원, 이수진 등 역대 국회의원을 배출했고 2024년 총선에서는 나경원 후보가 당선되었다.
  • 서울특별시의 선거구 - 종로구 (1988년 선거구)
    1988년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종로구는 소선거구제 시행으로 단독 선거구로 치러졌으며, 민주정의당 이종찬 후보가 당선되었다.
  • 198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중구 (1988년 서울 선거구)
    중구 (1988년 서울 선거구)는 1988년 제13대 총선을 앞두고 종로구·중구 선거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서울특별시 중구 지역의 국회의원 선거구였으나, 2016년 인구 감소로 성동구 갑·을 선거구와 통합되어 중구·성동구 을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 198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동작구 을
    동작구 을은 1988년 동작구 갑에서 분리 신설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서울특별시 동작구 일부 지역을 관할하며 박실, 유용태, 나경원, 이수진 등 역대 국회의원을 배출했고 2024년 총선에서는 나경원 후보가 당선되었다.
성북구 갑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선거구명성북구 갑
선거구 종류단일 선거구
의회국회
지역서울특별시
선거구성북구
유권자 수202,294
신설 년도1988
선출 의원 수1
의석 수1
이전 선거구성북구
정치
정당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김영배

2. 역사

1988년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소선거구제가 다시 도입되면서 성북구 선거구가 성북구 갑과 성북구 을로 분할되며 신설되었다.

성북구 갑 지역구는 역사적으로 중도좌파 성향의 자유주의 정당 소속 의원들이 많이 당선되었다. 민주당 소속 이철 의원은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이 지역구에서 처음으로 국회의원에 당선되었고, 1992년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에서 재선에 성공했다. 그러나 1996년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새정치국민회의 유재건 후보에게 패배했다. 유재건은 2000년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와 2004년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에서 연이어 당선되었다. 2008년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한나라당 정태근 후보가 승리하여 보수정당이 처음으로 이 지역구에서 승리했다.[1] 그러나 2012년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통합당 유승희 후보에게 패배했다.[2] 유승희는 2016년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출마하여 정태근 후보를 다시 한번 이기고 재선에 성공했다.[3] 2020년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성북구청장 출신인 김영배 후보가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당내 경선에서 현역 의원인 유승희 후보를 누르고 공천을 받아, 미래통합당 한상혁 후보를 24%p 이상의 득표율 차이로 꺾고 당선되었다.[4]

2. 1. 선거구 변천

1988년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소선거구제가 다시 도입되면서 성북구 선거구가 성북구 갑과 성북구 을로 나뉘어 신설되었다. 당시 성북구 갑에는 성북동, 동소문동, 삼선동, 동선동, 돈암2동, 안암동, 보문동, 정릉동, 길음1·2동이 포함되었다.

2008년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는 2007년에 동소문동이 폐지되었고, 길음2동이 성북구 을로 넘어갔다.

3. 관할 구역

대수관할 구역
13대 ~ 17대성북구 성북1동, 성북2동, 동소문동, 삼선1동, 삼선2동, 동선1동, 동선2동, 돈암2동, 안암동, 보문동, 정릉1동, 정릉2동, 정릉3동, 정릉4동, 길음1동, 길음2동
18대 ~ 현재성북구 성북동, 삼선동, 동선동, 돈암2동, 안암동, 보문동, 정릉1동, 정릉2동, 정릉3동, 정릉4동, 길음1동


4. 역대 국회의원



성북구 갑에서는 대체로 자유주의 성향 정당의 국회의원이 많이 당선되었다. 이철, 유재건, 유승희, 김영배 의원 등이 대표적이다. 한나라당 소속 정태근 의원이 당선된 적도 있지만, 전반적으로 자유주의 정당이 우세했다.

4. 1. 제13대 ~ 제17대

1988년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된 민주당 소속 이철 의원은 1992년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에서 재선에 성공했다.[1] 그러나 1996년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새정치국민회의유재건 후보에게 패배했다. 유재건은 2000년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와 2004년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에서 재선에 성공했다.[1]

4. 2. 제18대 ~ 현재

2008년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구경북 지역정태근 후보가 승리하여, 보수 정당이 해당 지역구에서 처음으로 승리하는 기록을 세웠다.[1] 그러나 2012년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주의 성향 민주통합당의 유승희 후보에게 패배했다.[2] 유승희는 2016년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출마하여 정태근 후보를 다시 한번 물리치고 재선에 성공했다.[3] 성북구청장 출신인 김영배 후보는 2020년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지명되었는데, 이는 당내 경선에서 현역 의원인 유승희 후보를 누르고 승리했기 때문이다. 김영배 후보는 선거에서 미래통합당의 한상혁 후보를 24%p 이상의 득표율 차이로 꺾고 당선되었다.[4]

5. 역대 선거 결과

역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
선거명당선인정당득표수득표율
13대 총선이철무소속40,65231.15%
14대 총선이철민주당61,71949.70%
15대 총선유재건새정치국민회의39,15936.06%
16대 총선유재건새천년민주당44,84547.93%
17대 총선유재건열린우리당44,53142.84%
18대 총선정태근한나라당46,26055.39%
19대 총선유승희민주통합당54,05751.26%
20대 총선유승희더불어민주당57,81947.87%
21대 총선김영배더불어민주당82,95460.90%
22대 총선김영배더불어민주당74,70755.68%


5. 1. 주요 선거 분석

성북구 갑 지역구는 역사적으로 중도좌파 성향의 자유주의 정당 소속 의원들이 많이 당선된 곳이다.

13대 총선에서는 무소속 이철 후보가 당선되었다.[1] 14대 총선에서는 민주당 소속으로 재선에 성공했다.[2] 15대 총선에서는 새정치국민회의 유재건 후보가 당선되었고,[3] 16대 총선과 17대 총선에서 내리 3선에 성공했다.[4]

18대 총선에서는 한나라당 정태근 후보가 당선되어, 보수 정당 후보로는 처음으로 성북구 갑에서 당선되는 기록을 세웠다.[5] 그러나 19대 총선에서는 민주통합당 유승희 후보에게 패배했다.[6] 20대 총선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유승희 후보가 다시 정태근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7]

21대 총선에서는 더불어민주당 경선에서 현역 유승희 의원을 꺾고 올라온 김영배 후보가 당선되었고, 22대 총선에서도 재선에 성공했다.

선거명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13대 총선이철무소속40,65231.15
14대 총선이철민주당61,71949.70
15대 총선유재건새정치국민회의39,15936.06
16대 총선유재건새천년민주당44,84547.93
17대 총선유재건열린우리당44,53142.84
18대 총선정태근한나라당46,26055.39
19대 총선유승희민주통합당54,05751.26
20대 총선유승희더불어민주당57,81947.87
21대 총선김영배더불어민주당82,95460.90
22대 총선김영배더불어민주당74,70755.68


참조

[1] 웹사이트 고대 총학 출신 이종철 "썩어빠진 운동권 타락에 경종을"…성북갑 출마선언 https://www.dailian.[...] 2024-02-09
[2] 웹사이트 [4·11총선 개표완료]서울 성북갑-민주 유승희 당선 https://n.news.naver[...]
[3] 웹사이트 [AJU PHOTO] 인사말 하는 유승희 서울 성북구갑 당선자 (더민주 당선자대회) https://www.ajunews.[...] 2016-04-20
[4] 웹사이트 [21대 의원 당선자] 서울 성북구갑 민주당 김영배 http://www.newsworks[...] 2020-04-16
[5] 웹사이트 유재건·박상돈의원 신당 탈당, 자유선진당行 https://www.munhwa.c[...]
[6] 웹사이트 신당 유재건·박상돈, 자유선진당 입당 https://n.news.naver[...]
[7] 웹사이트 쇄신파 정태근 김성식 탈당 선언…分黨 치닫나 https://www.mk.co.kr[...] 2011-12-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